CPU 성능 순위 인텔 AMD 노트북CPU 3월 기준

CPU 성능 순위 인텔 AMD 노트북CPU 3월 기준

안녕하세요. 사진&IT 크리에이터 자유분방입니다.

또 3월이 돼서 2024년 3월 기준 CPU 성능 순위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한 달에 한 번 정도 확인하고 있습니다만, 생각보다 큰 폭의 변화는 없는 것 같네요. 순위상으로는 최상단에 AMD 라이젠 스레드 리퍼, AMD 에픽, 인텔 제온 등의 CPU가 나와 있는 것을 밑에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가정용 메인보드 소켓에서 사용되는 CPU가 아닙니다.

스레드리퍼도 소켓이 다르고 제온이나 에픽은 서버용으로 출시된 모델이라 이 제품들은 제외하고 순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CPU 시장 점유율

먼저 인텔과 AMD의 시장 점유율을 살펴봅니다.

CPU 시장 전체로는 인텔이 63.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데스크톱 시장에서는 인텔이 54.4%로 근소하게 우위에 있습니다.

AMD도 데스크톱 CPU에서는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은 노트북입니다.

노트북은 최근 출시되는 갤럭시북만 봐도 대부분 인텔 CPU가 탑재돼 있기 때문에 새 노트북이 출시되는 시즌에는 인텔의 점유율이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버 시장에서는 여전히 인텔이 92.1%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네요. 싱글 레드 기준 순위참고로 CPU는 멀티 스레드 퍼포먼스와 싱글 레드 퍼포먼스가 조금 다릅니다.

인텔과 애플의 CPU는 싱글 레드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습니다.

어느 쪽이 더 나은지는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1위만 놓고 보면 애플 M3 맥스 16 코어에서 단식 레드 점수 39997점을 보이고 있네요. 종합 순위는 161위입니다.

노트북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를 보다노트북 CPU도 점점 성능이 좋아지고 있어요. 물론 노트북으로는 쿨링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완전한 성능을 내지 못할 수도 있지만 AMD 라이젠 97945 HX3D만 해도 59,124점의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종합 순위도 68위로 59124점에 16코어 32쓰레드 랩탑용 CPU FL1 소켓이네요.보통 HX나 HX가 붙은 제품이 고성능 노트북 CPU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고성능 노트북 CPU 탑재 모델은 DC 어댑터를 이용해 충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PU상위권성능순위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스레드리퍼, 제온, 에픽을 제외하고 상위 CPU의 성능 순위를 먼저 보고 아래에서 전체 순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스레드리퍼, 제온, 에픽을 제외하고 상위 CPU의 성능 순위를 먼저 보고 아래에서 전체 순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스레드리퍼는 하나만 넣었습니다.

스레드리퍼 프로 7995WX가 154293점으로 1위입니다.

소켓은 sTR5 소켓입니다.

이런 소켓 보드는 최소 100만원입니다.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AM5 소켓인 라이젠 97950X가 63015점으로 52등입니다.

라이젠 97950X3D가 62596점으로 55위입니다.

인텔 코어 i9-13900 KS가 61861점으로 57위입니다.

인텔 코어 i9-14900K가 61095점으로 58위입니다.

인텔 i9-14900 KF가 60115점으로 63위입니다.

인텔 i9-14900 KF가 60115점으로 63위입니다.

i9-13900K가 59408점으로 65위입니다.

라이젠 97945HX3D가 59124점으로 68위입니다.

인텔 i9-13900 KF가 58680점으로 73위입니다.

인텔 i9-14900F가 56990점으로 78위입니다.

라이젠 97940HX가 56520점으로 79위입니다.

전체 CPU 성능 순위마무리.이번 글에서는 2024년 3월 기준 CPU 성능 순위를 한 번 살펴봤습니다.

인텔과 AMD의 CPU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체적으로 상향 평준화되어 있고, 최근에는 컴퓨터 교체 주기도 상당히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럼 이번 문장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4년 3월 기준 CPU 성능 순위를 한 번 살펴봤습니다.

인텔과 AMD의 CPU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체적으로 상향 평준화되어 있고, 최근에는 컴퓨터 교체 주기도 상당히 길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럼 이번 문장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